본문 바로가기
정비일지

버터플라이 밸브 단점 이물질 끼임

by CloudKEY 2023. 12. 8.
반응형

현장에서 온오프 밸브를 쓰다 보면 게이트밸브, 버터플라이밸브, 볼밸브 등 다양한 밸브류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버터플라이 밸브 같은 경우는 이물질에 안전하지 못한데요.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버터플라이 밸브를 살펴보자

 

유체를 이송하는데 있어 온오프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정비를 할 때 유체의 흐름을 막아야 분해를 하여 쉽게 오버홀을 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버터플라이 밸브는 온오프 기능에는 충실하지만 평소에 유체의 흐름에 있어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막힘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버터플라이 밸브가 열려있는 사진입니다. 가운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빈공간을 막았다가 열었다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유체가 흐르면서 길고 가느다란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가운데 축에 걸려 양옆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것입니다.

 

 

닫힌 상태에서는 유체의 흐름을 완벽하게 막아줍니다. 그래서 버터플라이 밸브는 이물질이 없고 순수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때 쓰는 것이 편합니다.

 

저희 현장에서도 액체 유체의 흐름에 관하여 게이트 밸브, 볼 밸브 등 각종 다양한 밸브를 사용하고 있지만 버터플라이 밸브 같은 경우는 잘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요.

 

배관 조립에 있어 짧은 구경에 설치할수 있다는 단점과 가볍다는 메리트가 있지만, 어느 정도 이물질을 동반한 유체라면 버터플라이 밸브 사용을 권장해 드리지 않습니다.

 

만약 유체의 흐름에 이상이 있고, 배관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사용하는 중이라면 분해하여 디스크 판이 움직이는 가운데 축을 한번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