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비일지

마그네트 스위치 접점 그을림 불량 교체 (Feat. 전자접촉기,M/C)

by CloudKEY 2023. 12. 7.
반응형

현장에서 회전기계 기동을 하다 보면 전원을 넣어주는 마그네트 스위치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마그네트 스위치는 코일이 들어가 있어 전자석의 원리로 작동이 되는데요. 마그네트 스위치의 접촉 불량 현상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전압강하 문제와 보조접점에 다룬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이글과 같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전압강하 마그네트 스위치 교체후기 (Feat. M/C)

현장에 있는 펌프를 점검중에 기동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메인차단기에서 전압을 측정해보면 정상적으로 380V가 뜨고, 펌프를 수동으로 조작을 하면 마그네트 스위치도 전원인가시

keycloud88.com

 

 

 

마그네트 스위치 보조접점 활용하기 (Feat. UA-1)

LS산전의 전자접촉기, 마그네트 스위치를 사용하다보면 보조 접점 활용을 하기 위해서 부속품을 사용하고는 하는데요. 흔히 많이들 사용하는 UA-1 모델을 살펴보겠습니다. 보조접점을 사용하는

keycloud88.com

 

 

마그네트 스위치 접점 그을림 현상

 

 

마그네트 스위치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접점이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면서 코일부가 파손되거나 결선부위에 전류가 흐르면서 그을림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지금은 단종된 LS산전의 GMC-9 모델입니다. 워낙 오래 사용하다 보니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R, S, T 결선 부위가 시커멓게 그을려 있는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사용을 하다 보면 결선부위의 쪼임 볼트가 풀려버리거나 심하게는 전선과 터미널 단자사이가 끊어져 결상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결상은 3 상의 전원이 들어가야 하는 전동기에 1 상의 전원이 끊겨버려 2상밖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상이 고장이 나버린 것이죠.

 

이렇게 되어버리면 전류값이 상승하여 과전류 현상이 발생하고, 전동기는 돌아가지 못하고 전류만 인가되는 상태가 됩니다.

 

해결방법 및 조치

 

만약 패널 점검 시 눈으로 확연하게 스파크가 튀는 현상이 발생한다던지 전동기는 문제가 없으나 한 번씩 결상문제가 발생한다면 빠르게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결선부위에 그을림 현상이 심하다면 곧 마그네트 스위치가 고장이 날 수가 있기 때문에 그전에 교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마그네트 스위치도 회전기계를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소모품입니다. 작동에 문제가 없다고 장기간 사용하지 마시고 중요한 설비가 있다면 점검하여 교체해 주는 습관을 들이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