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7 4-20ma 아날로그 출력 테스터기 확인하기 오늘은 간단한 출력 점검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현장에 가보면 많은 계측기들이 있습니다. 유량계부터 수위계, 전자압력계등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계측기들이 있는데요. 이 계측기들은 대부분 계측을 하여 아날로그 출력 방식으로 수치를 보내게 됩니다. 흔히 우리가 간단히 알고 있는 4~20ma 의 전류가 대부분 자주 쓰이기도 하고요. 4~20ma의 수치를 출력함으로 이 수치를 기준으로 4에서는 0의 값을 20에서는 100의 값을 받아볼 수가 있는 것이지요. 재밌는 것은 0~20ma 가 아닌 이유가 있습니다. 만약 계측기가 전원이 나가서 꺼져버린다면 0 이 돼버리기 때문에 계측기가 꺼져서 0ma가 나오는 것인지 계측기는 멀쩡한데 정말 계측할 데이터가 없어서 0ma가 나오는것인지 헷갈리기 때문이죠. 그래서.. 2023. 5. 15. 수중펌프 과부하 알람 발생시 조치 방법 (Feat. 임펠러점검)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쓰던 가정용으로 쓰던 펌프를 쓰다 보면 차단기가 떨어지거나 과부하 관련 알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이며 만약 이런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무엇부터 먼저 점검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펠러에 끼임 문제가 보편적 펌프가 평소에 잘돌다가 갑자기 차단기가 떨어졌다면 누전을 의심해 볼 수도 있지만 임펠러에 이물질 끼임도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펌프는 전자석의 원리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물을 이송하는 기계입니다. 임펠러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회전을 못하게 되면 회전만큼 공급되던 전류가 더 많이 공급되어 버려 코일이 타버릴 수도 있습니다. 과전류가 되면 차단기가 떨어지면서 보호해 주는 것이지요. 그러면 의심되는 수중펌프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2023. 5. 12. 수중 교반기 분해 방법 (Feat. 샤프트 빼기) 이번에는 수중 교반기를 정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회전기계는 원리가 비슷합니다. 베어링이 양쪽으로 샤프트를 잡고 있는 형태이며 전기를 인가시키면 코일에 전자석이 형성되면서 회전이 되는 원리이지요. 뭐 이론적으로 들어가면 왼손이니 오른손이니 하는 법칙들이 있지만 간단하게 전자석을 기억해 두시면 됩니다. 수중교반기의 메커니컬 씰이 파손되어 유체가 코일쪽으로 유입된거 같아 분해해 보았습니다. 교반기 분해 순서 먼저 교반기 앞쪽에 프로펠러 같은 생긴 부분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이 케이스 부분을 먼저 풀어서 앞으로 빼줍니다. 프로펠러에 걸려서 잘 안 빠질 수도 있는데 살살 조절해 가면서 빼시면 빠집니다. 케이스를 푼 다음에는 프로펠러를 잡고 있는 너트를 풀어줍니다. 이 너트는 샤프트와 같이 회.. 2023. 5. 10. EMPR 디스플레이 화면 오작동 조치방법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과전류계전기 EOCR은 과부하로 인하여 전류값이 상승하면 고장 신호와 함께 모터의 기동을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더 나아가 EMPR은 과전류뿐만이 아니라 결상, 지락등 여러 가지 기능을 첨부하여 모터를 보호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작동을 하여 정말 간단하게 조치해 보았습니다. 전원을 어디서 끊어야 할지 모른다면 정비를 하다 보면 오작동할 때 제일 처음에 기본적으로는 공급되는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보기도 합니다. 제일 간단하게 할수도 있으면서 이렇게 하였을때 오작동되던것이 제대로 작동하는 경우가 흔하게 있기 때문입니다. 디스플레이 오작동 관련도 전원을 껏다가 켜보았습니다. 전기가 인가된 상태이지만 디스플레이 창에 아무런 화면이 뜨지도 않습니다... 2023. 5. 3. 베이스 안착 된 모터 베어링 교체 해보기 탈취기 팬을 가동하는 모터의 베어링 소음이 심하여 교체 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정비를 할 때는 정석대로 작업을 하면 좋으나 현장 여건이나 환경적인 부분이 맞지 않아 애로사항이 많을 때가 있습니다. 무조건 이렇게 따라 하라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작업을 하는구나 정도로만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비 고수님들이 더 많으실 테니까요. 모터 베어링 교체하는 순서 먼저 모터와 연결된 팬이라던지 커버가 있다면 제거부터 해줍니다. 그리고 모터 샤프트 부분에 풀리가 체결되어 있다면 기어풀러 등을 이용하여 먼저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모터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빼내는 것이 고정이 되어있어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모터 뒷 케이싱부터 분해하여 풀리가 박힌 채로 샤프트를 빼내게 되면 샤프트가 고정이 되어 있지 않아 풀.. 2023. 5. 2. 보국 디젤 비상발전기 수동운전 전압 체크 방법 현장에 디젤 비상발전기가 있어 간단하게 수동으로 시동 거는 방법과 전압체크 여부를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참고하시어 발전기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수동운전 하기 일단 저는 현장에 보국 비상발전기가 있기때문에 이 회사의 발전기를 토대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보통 비상발전기는 한전에서 들어오는 전기가 끊어졌을때 자동으로 가동이 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평소에는 AUTO 모드로 유지가 되어있을 겁니다. 이 상태에서 수동운전을 하고 싶을 때는 1. 먼저 1번 동그라미의 수동조작을 위한 손가락 모양의 버튼을 누릅니다. 2. 손가락 모양의 버튼을 눌러서 빨간 불이 점등되면, 이후에 2번 동그라미의 초록색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조작을 하시면 수동으로 발전기가 시동이 걸리게 됩니다. 내연기관이다.. 2023. 4. 27. 이동식 에어컴프레셔 작동불능 점검 증상 전원을 투입하였으나 컴프레셔가 작동하지 않고 웅~ 하는 소리와 함께 차단기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 점검방법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이동식 에어컴프레셔는 피스톤 왕복 운동을 통해서 대기 중의 공기를 압축하여 어느 정도 압력이 생성되면 왕복운동을 멈추는 형식이다. 압이 빠지게 되면 압력이 유지하기 위해 다시 왕복운동을 하고 이것을 반복한다. 에어건을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쓰다 보면 다시 피스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압축공기를 채워주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식의 이동식 에어컴프레셔를 현장에서는 많이 쓴다. 피스톤왕복을 운동을 하지 않기에 피스톤 헤드 부분을 풀어보았다. 피스톤이 실린더에 꽉 물려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실린더와 피스톤은 정말 미세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이 미세한 .. 2023. 4. 24. 에나멜 페인트 외부조작판넬 도색하기 증상 외부 조작 판넬 페인트 도색이 벗겨져서 녹이 피어오름 작업과정 일단 전문 페인트 업체가 아니기 때문에 할수있는 선에서 최대한 페인트칠을 해보기로 함. 페인트 조색부터 먼저 해야 할것 같아서 네이버와 다음, 구글에서 검색 "배전반색깔" , "전기판넬색깔" 등등 여러방면으로 검색. 일명 한전색깔이라고 먼셀번호 5Y 7/1 의 정보를 알아냄. 페인트 업체에 조색 의뢰. 다음은 4인치 핸드그라인더에 컵형 철 브러쉬를 끼워서 녹부분 벗겨내는 작업을 하였음. 작업복과 보안경을 꼭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함을 잊지 말아야한다. 녹 부분 벗긴다음 면보루에 신나를 묻혀서 판넬 구석구석 외형을 닦아줌.. 이물질 제거 작업.. 조색되어온 에나멜 페인트에 에나멜 신나를 10~15 프로 정도 섞어서 약간 묽게만든뒤 붓으로 도.. 2023. 4. 19. 10K50A 플랜지형 체크밸브 점검하는 방법 증상 하나의 배관에 펌프가 A,B가 설치되어 있어 교번으로 운전하는중 펌프작동시 이송이 간헐적으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점검 펌프가 작동시에 이송이 되었다가 안되었다가 하는 문제점에 체크밸브를 의심해 보았다. 체크밸브에는 스윙 디스크라는 부품이 달려있고 펌핑시에는 열렸다가 정지하면 닫히게 된다. 이 스윙디스크가 올바르게 닫히지 않으면 반대편에서 작동하는 펌프의 이송물이 반대로 다 넘어가버리게 된다. B펌프의 체크밸브 디스크가 올바르게 닫히지 않아 열려 있다면 A 펌프 기동시에 이송물이 B 펌프 쪽으로 빠져버리게 된다. 그래서 체크밸브의 여닫힘이 중요. 체크밸브 앞쪽 헤드부분 볼트 4군대를 풀어 열어보았다. 여닫힘 여부를 확인하고 끼인 이물질은 없는지 파손은 안되어있는지 꼼꼼하게 점검함. 주의할점 올바르.. 2023. 4. 18.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