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비일지

콘덴서 커패시터 정상 여부 테스트 방법 용량 확인

by CloudKEY 2023. 11. 2.
반응형

선풍기나 에어컨, 그리고 각종 220V 제품을 이용하다 보면 콘덴서를 접하게 됩니다. 특히, 현장에서 220V 단상 가정용 펌프를 다루다 보면 초기 시동 불량으로 콘덴서를 체크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 콘덴서를 교체해야 할지 용량을 체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콘덴서에 적힌 용량을 확인해보자

 

먼저 저는 아래에 있는 콘덴서를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큼지막하게 22uF 라고 적힌 것이 보이고 460 VAC라는 것도 보입니다. 460 VAC는 허용 전압이고 우리가 체크해야 할 부분은 22uF입니다. 콘덴서에 적힌 22uF는 전기용량으로써 단위는 마이크로패럿으로 읽습니다. 너무 깊게 들어가면 힘들기 때문에 정비하는 입장에서는 간단하게 콘덴서 용량을 체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게 좋습니다.

 

 

콘덴서 용량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전기테스터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전기테스터기에서 위의 빨간색 표시로 해둔 아이콘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제조사 테스터기 마다 기능이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현장에서 많이 쓰는 히노끼의 클램프미터는 저 기능이 없는 것도 있습니다. 

 

 

셀렉트를 돌려서 콘덴서 용량 체크 아이콘으로 맞춘다음에 이렇게 두 가지의 리드봉을 이용하여 콘덴서를 좌우로 각각 찍어봅니다. 정해진 색깔은 없습니다. 2가지의 봉을 좌우로만 엇갈리게 찍어주세요.

 

 

테스트기 디스플레이에 21.85라고 표시가 됩니다. 22uF 콘덴서 이므로 아직 용량이 괜찮다는 말이며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제품입니다. 만약 테스터를  하였는데 용량이 터무니없이 나온다거나 수치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이 된다면 콘덴서를 교체해 주시면 됩니다.

 

이 간단한 콘덴서 용량 체크 방법을 몰라서 비싸게 비용을 들여 수리업체에 맡기곤 하는데요. 콘덴서 용량을 테스터 할수 있는 포켓테스터기 자체의 가격이 얼마 안 하기 때문에 정비를 하는 분들이라면 하나쯤은 가지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 평소에 들고 다니시면서 체크하는 습관을 기르시고, 정비하는 데 있어 꼭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