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

타이머 8핀 릴레이 결선도 보는 법 번호 보는 방법 현장에서 타이머와 릴레이를 교체하거나 조립할 때 결선도에 따라서 선을 연결해야 하는데요. 결선도를 보고 어떻게 연결을 해야 하는지 쉽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결선도의 SOURCE 전원 먼저 제가 설치하고자 하는 타이머의 결선도 부터 보겠습니다. 8핀 릴레이 단자에 결합이 되는 타이머 이며, 결선도는 위와 같습니다. 우리가 여기에서 가정 처음 확인해야 하는 것은 SOURCE 부분입니다. 바로 전원인가 부분이죠. 전자제품은 전원을 넣어야지만 동작을 합니다. 이 타이머 또한 작동을 시키려면 전원을 넣어야겠죠? 그 전원이 들어가는 부분이 SOURCE 부분이며 위의 그림으로 보자면 AC100V~240V DC100V~240V 이 두가지의 범위 안에서 전원 인가가 가능합니다. 보통 현장에서는 가정에서도 많이 .. 2023. 11. 2.
콘덴서 커패시터 정상 여부 테스트 방법 용량 확인 선풍기나 에어컨, 그리고 각종 220V 제품을 이용하다 보면 콘덴서를 접하게 됩니다. 특히, 현장에서 220V 단상 가정용 펌프를 다루다 보면 초기 시동 불량으로 콘덴서를 체크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 콘덴서를 교체해야 할지 용량을 체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콘덴서에 적힌 용량을 확인해보자 먼저 저는 아래에 있는 콘덴서를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큼지막하게 22uF 라고 적힌 것이 보이고 460 VAC라는 것도 보입니다. 460 VAC는 허용 전압이고 우리가 체크해야 할 부분은 22uF입니다. 콘덴서에 적힌 22uF는 전기용량으로써 단위는 마이크로패럿으로 읽습니다. 너무 깊게 들어가면 힘들기 때문에 정비하는 입장에서는 간단하게 콘덴서 용량을 체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게 좋습니다. 콘덴서 .. 2023. 11. 2.
모터 명판을 보면 수월합니다 (Feat. 효성,현대)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모터 명판을 그냥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지나치는 분들이 많습니다. 회전기계의 핵심은 모터, 즉 전동기이므로 모터 관리만 잘해줘도 회전기계 다루기가 쉬운데요. 모터 명판에 대해서 한번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전동기 명판 알아보기 제가 준비한 명판은 효성모터 입니다. 왼쪽부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ype 타입을 보시면 TEFC 라고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TEFC는 Totally Enclosed Fan-Cooled 의 약자이며 모터에 설치된 팬으로 의해 쿨링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대게 이런 용량이 적은 모터들은 뒤쪽에 팬이 들어가 있고 이 팬이 열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2. KW 모터의 용량입니다. 0.4KW 라고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현장에서 흔히 반마.. 2023. 10. 29.
동파방지 열선 연장 후기 추운 날을 대비해서 야외에 있는 배관들에는 열선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도 동파 대비를 위해서도 쓰이기도 하고요. 열선 길이가 짧아서 안쪽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하여 피복을 벗겨 보았는데 관련 내용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열선 피복을 벗기면 열선 피복을 벗기면 저렇게 까만색 내피안에 전기선 2가닥이 지나가는 구조입니다. 원래 열선이라는 것은 중간에 끊어서 쓰는 건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장상황에 따라 부득이한 사정으로 써야 한다면 저 2가닥의 부분을 잘 벗겨내서 다른 선과 연결을 해주면 됩니다. 일단 제가 있는 현장에서는 길이가 안나왔기 때문에 열선 내의 2가닥을 다른 전선과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끔 조치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일명 전기테이프라고 불리는 절연테이.. 2023. 10. 23.
아날로그 해바라기 타이머 결선 및 설정방법 설비를 가동하는 데 있어 시간 간격을 주고 싶을 때 현장에서 제일 많이 쓰는 것이 해바라기 타이머입니다. 설치도 워낙 간편하고 결선도 너무 쉽기 때문이죠. 간단하게 결선과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선 방법 및 설정방법 위를 보시면 숫자로 1,2,3 으로 표시를 해두었습니다. 각 숫자마다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AUTO , 영구ON 선택 스위치 1번에 표기한 딸깍 스위치는 시간 운전을 할 것인지, 접점 없이 계속 운전을 할 것인지 선택을 해주는 곳입니다. 영구 ON으로 해두게 되면 시간 설정과 상관없이 계속 기동을 하는 것이고, AUTO 설정을 하게 되면 우리가 2번으로 표시한 접점에 의해서 설비가 기동이 됩니다. 2) 접점 스위치 가장 중요한 설정 스위치 입니다. .. 2023. 10. 17.
과전류계전기 EOCR 간단히 알아보기 현장에서 모터를 접하다 보면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EOCR를 달려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EOCR은 과전류계전기로서 일정 전류이상 상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모터를 정지시켜 주는 것인데요. 이 보호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면 모터코일은 과전류로 인해 절연이 파괴될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코일을 다시 감아야 하는 불상사가 생기는 것이지요. 현장에서 쉽게 놓칠수 있는 EOCR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고 간단하게 조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OCR의 조작기능 현장에서 쓰는 EOCR을 큼직하게 찍어 보았습니다. 슈나이더사의 EOCR SP 모델입니다. 각 숫자를 표시해 두었고 숫자가 표시하는 바와 의미하는 바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PWR은 EOCR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었는지를 표시해주는 램프입니다. 램프에 불이 들어.. 2023. 10. 5.
전압강하 마그네트 스위치 교체후기 (Feat. M/C) 현장에 있는 펌프를 점검중에 기동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메인차단기에서 전압을 측정해보면 정상적으로 380V가 뜨고, 펌프를 수동으로 조작을 하면 마그네트 스위치도 전원인가시 접점이 붙는것을 확인하였는데도 펌프가 작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전류값이 상승을 하였고 원인을 파악하던중에 마그네트의 코일에 문제가 있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그 후기는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압강하 일반적으로 마그네트 스위차가 하는 역할은 우리가 작동 전원을 인가하여 접점을 붙이게 되면 1차측에 물린 선이 2차측으로 전달이 되는 방식입니다. 접점이 안좋아서 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펌프 작동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마그네트를 교체하는 것이죠. 허나, 이번에는 접점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전달도 잘 되는데 1차측에서.. 2023. 9. 23.
3상 380V 전동기 수중펌프 회전방향 바꾸기 아마 3상 380V 회전기기를 다루시는 분들이라면 정말 많이 작업하시는 내용입니다. 바로 회전방향에 대한 결선 방법이지요. 교반기나 펌프는 제조사에서 정하는 일정한 회전방향이 있고 그 방향으로 돌아야지만 제대로 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습니다. 현장에서 흔히들 회전방향이 맞지 않으면 상을 바꾸라는 말을 많이 들으셨을겁니다. 그래서 정말 이런 것조차 처음이신 새내기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상 380V 전동기 회전방향 일단 3상 펌프라면 U V W 같이 3가닥의 선과 접지선 한가닥이 제품에서 나오게 됩니다. 전원이 들어가는 부분이 3가닥이고 접지가 들어가는 부분이 1가닥 총 4가닥의 선인 것이죠. 펌프나 전동기에서 올라오는 선을 역추적해서 따라가 보면 조작 판넬 단자대에 이렇게 선이 물.. 2023. 9. 21.
파워서플라이 SMPS 교체 후기 24V 현장에 설치된 유량계 변환기의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유량값이 뜨지 않아 점검을 하게 되었습니다. 점검결과 유량계로 공급되는 24V 전압이 문제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워서플라이라고 불리는 제품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부품에도 있는데요. 가정용 220V 전원을 인가받아서 파워서플라이를 통해 각종 컴퓨터 메인보드나 CPU, 저장장치 등으로 전압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현장에 설치된 유량계 판넬로 220V 전원이 인가되고 그 전원을 24V로 변환하여 유량계에 제공해 주는 부품인 파워서플라이 혹은 SMPS(Switch mode power supply)를 한번 교체해 보았습니다. 유량계에 순시값이 뜨지 않는다면 사용하고 있는 유량계 변환기 디스플레이에 적산값이 .. 2023.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