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7

베어링이 고열로 인해 파손되었을때 현장에서 각종 회전기계를 접하다 보면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런 경우에는 베어링이 파손된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베어링 위치가 꽉 막힌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곳이라면 열 배출이 안되기 때문에 열기로 인해 파손이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베어링이 고열을 받아 시꺼멓게 변한 것을 볼 수 있고 외륜과 내륜사이에 있어야 할 볼들이 대부분 빠져버린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부드럽게 회전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끄러운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지요. 특히 볼을 잡아주는 케이지가 파손되어 끊어져버리면 끊어진 곳이 꽤 날카롭기 때문에 그 부분이 베어링을 잡아주는 외벽을 긁어버려 더 악화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음이 난다 싶으면 바로 베어링을 확인하여 교체.. 2023. 7. 5.
오뚝이 오뚜기 수위레벨센서 서진 컨트롤러 교체기 (Feat.SQ-4U-5W)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물에 뜨는 부레식을 이용한 오뚝이 수위레벨센서를 접할 수가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밑으로 축 쳐져있지만 물이 점점 차오르면 오뚝이가 물로 인해 뜨면서 거꾸로 뒤집혀 서는 모습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렇게 뒤집힐 때 접점이 붙으면서 신호를 주어 펌프를 기동시 키게 되는 것이지요. 접점이 불량이면 기동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펌프가 기동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때는 오뚝이 수위레벨센서를 교체하면 되지만 만약 오뚝이가 모두 정상인데 펌프가 기동 되지 않는다면 수위를 제어해 주는 컨트롤러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레벨컨트롤러가 뭔가요? 레벨컨트롤러는 오뚜기 수위레벨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명령을 내려주는 중앙 부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희 현장에서 이용하고 있는 서진 .. 2023. 7. 2.
수중펌프 절연저항이 안좋을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수중펌프는 물속에 펌프를 담가두고 물 같은 유체를 퍼올리기 때문에 펌프 바디 부분에 유체가 스며들지 않게 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메커니컬씰이라던지 씰링의 역할을 하는 오링 같은 것을 신경 써줘야 합니다. 하지만 오랜 세월 사용하다 보면 수중펌프의 절연 저항이 안 좋아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유체가 코일쪽으로 스며들었을때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수중펌프를 물속에 담가두고 장시간 사용하다 보니 물이 조금씩 코일 안쪽으로 스며들어 전기가 펌프 바디로 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물은 전기가 통하는 도체이기 때문이지요. 이런 경우는 수중펌프의 머릿 부분을 풀어서 뒤집어보면 물이 침투했는지 안 했는지 금방 파악.. 2023. 6. 18.
이물질에 약한 버터플라이 밸브 우리가 배관에서 유체의 흐름을 막는 용도로 쓰는 각종 밸브들이 있습니다. 게이트밸브, 볼밸브, 버터플라이 밸브등 종류도 많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요. 얼마 전 저희 현장에서 계속 배관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플러싱 작업을 하였으나 얼마 못 가 또 막히는 현상이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원인은 버터플라이 밸브 밸브가 열려 있음에도 이물질이 어딘가에 계속 재이면서 배관을 꽉 막아버리는 현상이 생긴것인데요. 바로 버터플라이 밸브의 문제였습니다. 사진과 같이 버터플라이 밸브는 가운데 축을 기준으로 해서 디스크가 돌아가면서 오픈, 클로즈가 되는 형식입니다. 가운데 축이 배관 중앙으로 위치하다 보니 깨끗한 유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물질을 동반한 유체들은 이물질이 걸리기가 좋은 구조이지요. 이런 곳에는 볼밸브나 게이.. 2023. 6. 16.
체크밸브 이물질 확인 수중펌프 펌핑량 정상 값 찾기 수중펌프로 유체를 이송하다 보면 일정한 값 비슷하게 공급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사용하다 보면 펌핑량이 줄어드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수중펌프 과부하 알람 발생시 조치 방법 (Feat. 임펠러점검)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쓰던 가정용으로 쓰던 펌프를 쓰다 보면 차단기가 떨어지거나 과부하 관련 알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이며 만약 이런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keycloud88.com 위에 언급한것과 같이 임펠러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그만큼 유체가 통과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펌핑량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하나, 펌프를 확인하였는데 아무런 이물질도 없다면 펌프에서 나가는 토출배관 쪽 막힘을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그렇다고 배관을 모두 분해하여 볼 수도 없을 분더러 그 길이가 길.. 2023. 6. 11.
원심펌프가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을때 (Feat.베어링) 베어링은 회전기계에 있어 정말 중요한 부품입니다. 베어링이 망가지면 회전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그 부하는 고스란히 전류값으로 이어지면서 전동기에도 피해가 갈 수도 있습니다. 베어링은 소모품이고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는 게 가장 좋지만 평소 운전 소리와 다르게 소음이 커졌다거나 진동이 심해졌다면 즉시 베어링을 확인하여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손으로 샤프트를 돌려보았을 때 부드럽게 돌아가야 하는 것이 정상이며, 뻑뻑한 느낌이 들거나 어딘가에 걸리는 느낌이 든다면 베어링이 파손되어 있음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베어링 교체가 중요한 이유 샤프트가 부드럽게 회전하지 않아 확인해본결과 베어링이 망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의 사진만 봐도 육안으로도 충분히 망가졌음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가운데 구.. 2023. 6. 7.
원심펌프 현장에서 쉽게 탈거 분해하는 법 (Feat.배관분해X) 원심펌프의 소음이 심해서 분해하여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원심펌프는 현장에 고정 설치되어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이 맞물려 있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펌프를 정비할 때 배관을 모두 풀어내어 펌프를 탈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요즘은 배관 분해 없이 탈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채용하는 펌프 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원심펌프 탈거 시스템 이해하기 일단먼저 어떤 식인지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빨간색 원 부분이 펌프의 프런트 케이싱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펌프의 부속이지요. 저 프런트 케이싱은 흡입배관과 토출배관과 맞물려 있으며 고정 베이스에도 맞물려 있습니다. 펌프를 탈거할 때 이 부분을 남겨두고 뒤쪽으로 나머지 부분만 쏙 뽑아내어 탈거하는 것입니.. 2023. 6. 1.
전선이 까졌을때 들어났을때 보수하기 이번에는 정말 왕초보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바로 전기전선 부위가 까졌을 때 보수하는 방법인데요. 정비를 하다 보면 흔하게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전선의 피복이 까져서 드러나게 되면 전류가 새어버리기 때문에 쇼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위험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절연도 안 좋아지고요. 보수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선부터 자세하게 살펴보기 먼저 전선이 까진 증상부터 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전선이 찍힘으로 인해서 피복이 벗겨졌습니다. 사진상으로는 잘 안보이지만 벗겨져서 안쪽 구리전선이 보일 정도입니다. 현장에서 동력선은 잘 말아서 피해가 가지 않게 해야 하지만, 부득이하게 실수로 밟거나 , 당기거나 하중에 의해 짓눌러지면 손상이 가기 쉽습니다. 특히, 수중에서 회전을 하는 기계들.. 2023. 5. 24.
수중교반기 조립 순서 방법 베어링 메커니컬 씰 이번에는 수중교반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한번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저번에는 분해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았는데요. 수중 교반기 분해 방법 (Feat. 샤프트 빼기) 이번에는 수중 교반기를 정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회전기계는 원리가 비슷합니다. 베어링이 양쪽으로 샤프트를 잡고 있는 형태이며 전기를 인가시키면 코일에 전자석이 형성되면서 keycloud88.com 분해를 해서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천천히 보여드릴까 합니다. 분해를 먼저 보고서 조립을 보시면 더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수중교반기 조립 순서 먼저 샤프트에 베어링부터 조립을 먼저 해줍니다. 베어링 같은 경우는 현장상황에 맞게 열박음이나 때려 박음으로 샤프트가 손상이 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베어링 가열기 공구를 이용하면 좋으나 현장 .. 2023. 5. 17.